MVP는 스타트업에서 제품을 개발할 때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하는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.
Minimum Viable Product, 즉 ‘최소 기능 제품’이라는 뜻으로, 가장 간단한 형태로 고객의 반응을 실험하고, 시장성과 문제 해결 가능성을 검증하는 단계입니다.
이 글에서는 MVP의 개념, 목적, 개발 방법, 그리고 실무에서 활용되는 구체적인 사례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.
이미지 출처: Pixabay (https://pixabay.com)
MVP의 개념: 최소 기능 제품이란 무엇인가
MVP는 ‘가장 핵심적인 기능만을 갖춘, 출시 가능한 제품’을 의미합니다.
스타트업이 완성된 제품을 만들기 전에 가설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버전의 제품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
이 개념은 린 스타트업(Lean Startup) 이론에서 비롯되었으며, 제품을 반복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‘빌드(Build) - 측정(Measure) - 학습(Learn)’ 사이클을 중심에 둡니다.
전통적인 제품 개발은 모든 기능을 구현한 뒤 출시하지만, 스타트업은 제한된 리소스와 짧은 런웨이 속에서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핵심 기능이 무엇인지 빠르게 파악해야 합니다. MVP는 그런 환경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, 최대한 빨리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.
예를 들어, 배달 앱을 만들려는 스타트업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완성된 앱에는 주문, 결제, GPS, 리뷰, 고객센터 등 다양한 기능이 필요하지만, MVP 단계에서는 ‘음식 선택 - 주문 요청 - 전화 연결’만으로도 핵심 가치를 실험할 수 있습니다.
이처럼 MVP는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기능만 담고, 이를 통해 고객이 실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빠르게 확인하는 것입니다.
MVP의 목적: 빠르게 시장을 검증하고 낭비를 줄이는 전략입니다
MVP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시장 검증입니다.
스타트업의 많은 실패는 제품이 시장에서 통하지 않거나, 고객이 원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발생합니다.
MVP는 이런 실패를 사전에 줄여주는 일종의 '방어막' 역할을 합니다. 또한 MVP는 제품 개발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해 줍니다.
초기 단계에서 완성형 제품을 개발하면, 개발 기간이 길어지고 자금이 소진되며, 고객의 반응이 없을 경우 회복하기 어렵습니다.
하지만 MVP는 빠르게 고객을 만나고, 그 반응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의 방향성을 정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어떤 창업자가 AI 기반 노트 정리 앱을 개발하려 한다면, 처음부터 완전한 자동화 기술을 개발하는 대신
구글 폼이나 Notion 템플릿을 이용해 사람 손으로 결과물을 만들어주는 MVP를 만들 수 있습니다.
이 과정을 통해 고객이 실제로 어떤 기능을 원하고, 어떤 문제에 가장 불편을 느끼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
스타트업에서는 이러한 MVP 전략을 통해 불확실한 미래를 관리 가능하게 만들고, 실패하더라도 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나아가, 빠른 피벗(pivot)을 가능하게 해 주는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.
MVP 개발 방법: 실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형과 사례입니다
MVP를 만드는 방식은 다양합니다.
제품을 꼭 완성하지 않아도 MVP는 가능하며, 심지어 ‘실제 서비스가 없는 상태’에서도 MVP 실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
대표적인 MVP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콘셉트 테스트형
제품의 실제 개발 없이, 랜딩 페이지나 시제품 영상 등을 통해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지를 실험하는 방식입니다.
예: 서비스 소개 웹페이지 + "가입 대기자 명단 등록" 버튼 운영
2. 수동 운영형 (Wizard of Oz)
겉으로는 자동화된 것처럼 보이지만, 실제로는 내부에서 사람이 수작업으로 운영하는 방식입니다.
예: 자동 요약 앱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창업자가 직접 문서를 읽고 요약해 제공
3. 프로토타입 제공형
실제로 동작하는 가장 기초적인 기능만을 구현해, 사용자 피드백을 직접 수집하는 방식입니다.
예: MVP 앱, Figma 디자인 기반의 클릭형 시연, 노코드 툴 활용
4. 서비스 흉내내기형 (Concierge MVP)
고객 한 명 한 명에게 1:1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들의 피드백을 통해 가치 제안을 검증하는 방식입니다.
이 외에도 뉴스레터, 유튜브 시리즈, 인터뷰 리서치 등도 MVP의 초기 형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중요한 것은 빠르게 실행하고, 빠르게 피드백을 수집하고, 빠르게 수정하는 것입니다.
스타트업의 속도는 MVP를 얼마나 잘 설계하고 얼마나 빠르게 실험하고 배우는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.
MVP는 스타트업의 실전형 나침반입니다
MVP는 단순한 제품 버전이 아니라, 스타트업이 불확실한 시장을 탐색할 수 있게 해주는 전략적 도구입니다. 완성된 서비스를 만들어야만 고객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벗어나, 핵심 가치만 담긴 MVP로 먼저 실행하고 실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성공적인 스타트업일수록 MVP를 반복적으로 테스트하고, 그 결과를 기반으로 제품과 비즈니스를 끊임없이 개선해 나갑니다. 아이디어가 아무리 좋아도 고객의 반응이 없다면 시장성은 없습니다. MVP는 그 반응을 가장 빨리, 가장 적은 리스크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.
지금 당신의 아이디어는 MVP로 검증되고 있나요?
고객은 어떤 문제를 느끼고 있으며, 그 문제에 당신의 솔루션은 정말 통하고 있나요?
답을 찾기 위한 첫걸음은, 작게 만들고, 빠르게 보여주고, 바로 학습하는 것입니다.